nomadinsi

세상을 들여다보며 통찰을 발견하는 공간

  • 2025. 3. 29.

    by. namadinsi

    목차

      반응형

      마카오를 여행하다 보면 빼놓을 수 없는 두 가지 간식이 있습니다. 바로아몬드 쿠키에그타르트입니다. 이 두 과자는 단순한 먹거리를 넘어, 동서양 문화가 어떻게 충돌하고 융합되었는지를 보여주는 상징적인 음식이기도 하죠. 오늘은 이 과자들의 기원과 변천사, 그리고 마카오의 역사 속에서 어떻게 지금의 모습으로 발전하게 되었는지를 들여다보겠습니다.

      Ⅰ. 아몬드 쿠키호도수가 아몬드를 만나다

      1. 광둥 전통 과자호도수(合桃酥)’

      아몬드 쿠키의 기원을 이해하려면 먼저 중국 광둥 지역의 전통 과자인호도수(合桃酥,합도수)’를 알아야 합니다. 호도수는 밀가루, 설탕, 라드(돼지기름), 베이킹파우더, 그리고 호두를 넣어 만든 바삭한 쿠키로, 중국 남부 지역에서 오래전부터 즐겨 먹어온 간식입니다.

      2. 마카오에서의 재탄생

      마카오는 16세기 후반부터 1999년까지 무려 400년 넘게 포르투갈의 식민지로 존재했습니다. 이 시기에 포르투갈을 통해 유럽 식재료와 제과 문화가 자연스럽게 유입되었죠. 아몬드(Almond)는 그 대표적인 예로, 포르투갈 식문화에서 자주 사용되던 견과류였습니다. 특히 남부 지역인 알가르브(Algarve) 지방은 아몬드 산지로 유명해서, 다양한 전통 과자에 아몬드가 쓰입니다.

      3. 대표적인 포르투갈 아몬드 디저트

      가.     Doces de Amêndoa (아몬드 페이스트 과자)

        o   아몬드 가루와 설탕, 계란을 섞어 만든 마지팬처럼 부드러운 과자.

        o   동물이나 과일 모양으로 빚어내기도 해요.

      나.     Tarte de Amêndoa (아몬드 타르트)

        o   얇은 파이지 위에 캐러멜라이즈된 아몬드를 올려 구운 디저트.

        o   카페나 식당 디저트 메뉴에 자주 등장합니다.

      다.     Broas de Amêndoa (아몬드 쿠키 형태의 빵)

        o   아몬드와 달걀, 설탕 등을 섞어 만든 전통 쿠키 형태의 과자.

        o   약간 부드럽고 쫀득한 질감이 특징이에요.

      호두를 사용하던 중국의 전통 과자는 마카오에서 아몬드로 대체되기 시작합니다. 이는 단순한 재료 변경이 아니라, 식민지 시대의 문화적 융합의 결과였습니다. 그 결과아몬드 쿠키라는 새로운 형태의 과자가 등장하게 되었고, 오늘날 마카오를 대표하는 간식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4. 마카오 아몬드 쿠키의 특징

      마카오 아몬드 쿠키는 광둥식 호도수와는 식감부터 다릅니다. 호도수는 다소 촉촉한 반면, 마카오 아몬드 쿠키는 입에 넣으면 부서질 듯 바삭하고, 고소한 풍미가 인상적입니다.
      대표적인 브랜드로는쵸이허이(咀香
      )’커이킁(鉅記)’이 있으며, 이들은 수십 년 동안 마카오를 대표하는 과자 브랜드로 성장했습니다.

      5. 마카오 아몬드 쿠키 만드는 방법 (가정용 레시피)

      📌 재료 ( 15~20개 분량)

      • 아몬드 가루: 100g
      • 밀가루 (중력분): 100g
      • 설탕: 50g
      • 식물성 기름 또는 라드(돼지기름): 60g
      • 베이킹파우더: 1/2 작은술
      • 통 아몬드 (장식용): 약간
      • : 반죽 상태에 따라 소량 조절

      🍳 만드는 방법

      1. 재료 혼합하기
        볼에 아몬드 가루, 밀가루, 설탕, 베이킹파우더를 넣고 잘 섞습니다.
      2. 기름 넣기
        식물성 기름 또는 라드를 넣고 손이나 주걱으로 섞어, 고슬고슬한 반죽을 만듭니다. 필요에 따라 물을 조금씩 넣어 촉촉하게 조절하세요.
      3. 모양 만들기
        반죽을 한 스푼씩 떼어 동글납작한 모양으로 빚고, 가운데에 통 아몬드를 하나씩 눌러 올립니다.
      4.  굽기
        170~180도로 예열한 오븐에서 약 15분 굽습니다. 
        쿠키 가장자리가 살짝 노릇해지면 꺼냅니다.
      5. 식히기
        오븐에서 꺼낸 후 식힘망 위에서 식혀야 바삭한 식감이 살아납니다.

      Ⅱ. 에그타르트파스텔 드 나타의 동양 버전

      1. 포르투갈 디저트파스텔 드 나타(Pastel de Nata)’

      에그타르트는 포르투갈 디저트인파스텔 드 나타에서 기원합니다. 파스텔 드 나타는 얇고 바삭한 페이스트리 안에 크리미한 에그 커스터드를 채워 구운 타르트로, 18세기 포르투갈 수도원의 수도사들이 처음 만들었다고 전해지죠.

      2. 마카오에서의 현지화

      포르투갈인들이 마카오로 이주하면서 파스텔 드 나타도 함께 전해졌고, 이것이 현지화되어 마카오식 에그타르트로 변형됩니다.
      크러스트는 덜 기름지게, 커스터드는 더 달콤하고 부드럽게 바뀌었으며, 일부 레시피에는 연유나 바닐라가 추가되기도 했습니다.

      현대 마카오에서 가장 유명한 에그타르트 브랜드는로드 스토우(Lord Stow’s Bakery)’입니다. 이곳은 1989년 영국인 앤드루 스토우가 설립한 곳으로, 마카오식 에그타르트를 세계적으로 알리는 데 큰 역할을 했습니다.

      3. 식민지 시대가 남긴 음식의 유산

      아몬드 쿠키와 에그타르트는 단지 맛있는 간식일 뿐만 아니라, 마카오라는 도시가 가진 역사적 맥락과 문화적 융합의 상징입니다.
      중국 전통 과자에 서양 식재료가 스며들고, 서양 디저트에 동양의 감성과 재료가 더해지면서 전혀 새로운 맛이 탄생했습니다.

      현재 이 두 과자는 마카오 여행의 필수 쇼핑 목록에 들어가며, 현지인들뿐만 아니라 전 세계 관광객들에게 사랑받고 있습니다.
      특히 아몬드 쿠키는 개별 포장해서 가져가는 것이 용이해 기념품으로도 인기가 높으며, 에그타르트는 길거리 간식으로도 쉽게 접할 수 있어 관광객들의 만족도가 높은 음식입니다.

      4. 마카오식 에그타르트 만드는 방법 (가정용 레시피)

      📌 재료 (6개 기준)

      [타르트지]

      • 냉동 페이스트리 시트: 1
      • 버터 (표면 바르기용): 약간

      [에그 커스터드]

      • 달걀 노른자: 2
      • 전란(달걀 전체): 1
      • 설탕: 60g
      • 따뜻한 우유: 150ml
      • 연유: 50ml
      • 바닐라 에센스 (선택): 약간

      🍳 만드는 방법

      1. 오븐 예열
        오븐을 200℃로 미리 예열합니다.
      2. 페이스트리 준비
        냉동 페이스트리 시트를 해동한 후 머핀틀 크기에 맞게 잘라서 눌러 넣습니다. 포크로 바닥을 콕콕 찍어주세요.
      3. 에그 커스터드 만들기
        볼에 달걀 노른자, 전란, 설탕을 넣고 잘 섞습니다. 여기에 따뜻한 우유, 연유, 바닐라 에센스를 넣고 부드럽게 섞어주세요. 체에 한 번 걸러주면 더 매끄러워집니다.
      4. 타르트에 붓기
        머핀틀에 커스터드 액을 80% 정도 채워 넣습니다.
      5. 굽기
        예열한 오븐에서 약 20~25분간 굽습니다. 윗면에 갈색 점이 생기고 커스터드가 살짝 부풀어 오르면 완성입니다.
      6. 식히기
        꺼내서 식힘망에 올려 약간 식힌 후 따뜻하게 먹으면 맛이 최고입니다!

       Ⅲ. 결론: 음식 속에 숨겨진 역사 읽기

      무엇을 먹느냐는 단순한 선택이 아니라, ‘어떻게 살아왔느냐의 흔적입니다.
      아몬드 쿠키와 에그타르트를 통해 우리는 마카오라는 도시가 겪은 오랜 식민의 역사, 그리고 그 속에서 형성된 독특한 문화 융합을 엿볼 수 있습니다.

      여행 중 한입 베어무는 과자 속에도, 수백 년의 시간이 담겨 있다는 사실.
      마카오에 가신다면 이 두 간식을 꼭 맛보며 그 이야기를 느껴보시길 바랍니다.

      에그타르트

      반응형

      '세계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레이스 켈리 & 모나코 이야기  (0) 2025.03.08
      스페인 - 세비야(Seville)  (0) 2025.02.22
      스페인 - 그라나다  (0) 2025.02.19